
안녕하세요 제로입니다
요즘 지식인에 답변 달다가 dsr은 뭐고 dti는 뭐고 ltv는 뭐냐라는 물음이 굉장히 갑자기 많아졌습니다
아마 요즘 경제신문에서 죄 다 dsr을 줄인다고 하는 기사가 많이 뜨니까 급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그럼 용어들을 공부하러 가볼까요
dsr(Debt Service Ratio) |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연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이게 무슨 말이냐면
예를 들어 대출자가 연봉 1억입니다 그러면 적용률에 따라서 40%는 매년 4천만 원까지 원리금의 상한선을 두겠다 이 말입니다. 쉽게 원리금 4천이니까 요즘 10억짜리 집을 연 4%로 빌려서 30년 분할납부한다고 하면 계약금 10%를 자기돈으로 넣고 8억을 빌리겠지요 계산해 봅니다

매월 382만 원 정도..ㄷㄷㄷ 원리금을 갚는 겁니다 딱!! 현재 40% 수준으로 묶는다고 하니까 저 정도인데요
중요한 건!!!!!!!!!!!!
이게 집담보 대출금액만 빌리는 계산식이죠 이걸dti라고 하는 겁니다
dti(Debt To Income) |
금융부채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 대출한도를 정하는 계산 비율을 말한다. 대출 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실시한다.
총부채상환비율(總負債償還比率), 즉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금융기관들이 대출금액을 산정할 때 대출자의 상환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Credit Scoring System)과 비슷한 개념이다. 예를 들면, 연간 소득이 5000만 원이고 DTI를 40%로 설정할 경우에 총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2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규모를 제한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부동산 투기 과열에 따라, 2007년 은행권에서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에 대하여 주택담보대출에 DTI 규제를 확대하였다. 소득을 적게 신고한 자영업자나 상환능력은 있지만 현재 소득이 없는 은퇴자의 경우에 불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DTI는 연간 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대출 기간을 장기로 할 경우에는 대출한도의 축소분을 상당 부분 보전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DTI [Debt To Income] (두산백과)
그럼 dti 하고 dsr 하고 차이는 뭐냐????
네 딱 있습니다! 모든 부채가 포함됩니다
dti: 해당 주택의 부채만 의미 dti 40%는 연봉 1억이 4천만까지 빌릴 수 있다 해당 부채에 대해서만 8억(위 예시)
dsr: 모든 부채, 즉 신용대출, 차 대출, 학자금 대출, 이것까지 포함해서 연봉 1억이면 매년 원리금 갚는 금액이 4천입니다 . 다시 말해 신용대출이 5천, 차 대출이 3천, 학자금 대출이 2천, 이렇게 되면 윗글에서의 빌릴수 있는 금액이 8억이 아니라 7억만 빌릴 수 있겠죠 물론 세세한 금리는 동일 4%라는 규정을 한다면 말입니다 한마디로 돈을 빌리는걸 더 줄이겠다는 얘기입니다
보너스로 따라붙는 게 있죠
ltv
주택담보대출비율
담보가치(주택가격) 대비 대출비율로, 은행들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때 적용하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가능 한도를 말한다. | 외국어 표기 | LTV(영어) Loan To Value ratio (영어) | 주택담보
terms.naver.com
담보가치(주택 가격) 대비 대출비율로, 은행들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때 적용하는 담보가치 대비 최대 대출 가능 한도를 말한다. | 외국어 표기 | LTV(영어) Loan To Value ratio (영어) | 주택담보대출비율은 은행들이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줄...
외국어 표기 LTV(영어), Loan To Value ratio (영어)
어떠세요 감이 잡히시나요 말 그대로 주택이 10억이면 적용률 뭐 수도권은 60%라고 한다 라고 뉴스에서 말하지요 그러면 6억까지 빌려주는데 너의 연봉이 얼마인지에 따라서 최대 6억이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뭐 대한민국에서 집은 정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제 슬슬 부동산에 눈을 뜨게 되시면 위의 3개 용어 정도는 기본으로 머릿속에 담아 두시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오늘 공부는 여기까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꾹!!!!~~~~~~~~~ 부탁드립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대주 변경하기(온라인으로 간편하게) (0) | 2021.05.21 |
---|---|
통장압류 그 뒤에 생각해야 할것들 (2) | 2021.05.20 |
카카오뱅크 전월세대출(청년도포함) (2) | 2021.05.17 |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ft 현금서비스 갚기) (0) | 2021.05.14 |
지급명령 이의신청(ft 온라인으로 하는법) (0) | 2021.05.13 |